FrontEnd :-)

2022.12.13. 본문

TIL/트렌드 읽기

2022.12.13.

code10 2022. 12. 20. 19:28

1. https://velog.io/@eunbinn/javascript-data-structures

 

[번역] 현실 세계 프런트엔드에서 사용되는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리액트 코드 예시와 함께

프런트엔드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로서 자료구조 공부는 필요한가요? 프런트엔드를 개발하며 얼마나 자료구조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예시를 통해 프런트엔

velog.io

👍

 

2. https://velog.io/@surim014/how-next.js-works

 

Next.js 작동 방식

프로젝트 혹은 업무에서 Next.js를 사용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Next.js의 동작 원리에 대한 부분 외에도 다양한 개념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velog.io

"

- Next.js에서 컴파일은 개발 단계 중 코드를 편집할 때 실행되며 프로덕션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준비하는 빌드 단계의 일부로 실행됩니다.

- Next.js에서 자바스크립트 및 CSS 파일은 프로덕션을 위해 자동으로 경량화 됩니다.

- Next.js에는 코드 분할을 지원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pages/ 디렉토리 내의 각 파일은 빌드 단계에서 자동으로 자체 자바스크립트 번들로 코드 분할됩니다.

- Next.js에서는 서버 사이드 렌더링 유형, 정적 사이트 생성 유형 및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유형의 세 가지 렌더링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ext.js는 기본적으로 모든 페이지를 미리 렌더링 합니다. Pre-rendering은 HTML이 사용자 장치에서 자바스크립트로 모든 것을 수행하는 대신 서버에서 미리 생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Next.js의 장점은 정적 사이트 생성, 서버 사이드 렌더링 또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등 페이지별로 사용 ​​사례에 가장 적합한 렌더링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Next.js에서는 pre-rendering을 미리 수행할 수 있고 CDN은 작업의 정적 결과를 저장하는 데 적합하여 콘텐츠 전송 속도가 빨라집니다.

"

🙂 next 공식 문서 일부를 번역한 글이다/

https://nextjs.org/learn/foundations/how-nextjs-works

 

3. https://www.theverge.com/2022/12/8/23500077/amazon-inspire-social-shopping-short-form-video-feed-tiktok

 

Amazon is adding a TikTok-like feed of shoppable content to its app

The e-commerce giant is trying social shopping.

www.theverge.com

>> A new scrollable feed called Inspire is coming to US app users. The short videos showcase products the retailer thinks you might be interested in.

😈 아마존은 틱톡처럼 숏폼을, 틱톡은 아마존처럼 쇼핑을/ 

 

4. https://zdnet.co.kr/view/?no=20221213160856 

 

올해 한국인이 애용한 앱 2위 '카톡'...1위는?

올해 한국인이 가장 많이 이용한 앱 1위로 유튜브가 선정됐다.13일 포브스코리아와 데이터분석기업 TDI가 발표한 ‘2022년 한국인이 사랑한 모바일 앱’ 순위에 따르면 유튜...

zdnet.co.kr

<2022년 한국인이 사랑한 모바일 앱 순위>

1. 유튜브 2. 카카오톡 3. 인스타그램 4. 쿠팡 5. 당근마켓 6. 스노어랩 7. 네이버 지도 8. 넷플릭스 9. 티맵 10. 쿠팡플레이 11. 네이버 밴드

(이번 조사는 포브스코리아와 데이터분석기업 TDI가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했다. 기간은 지난 1월부터 10월30일까지로, 항목은 기기설치수(잔존), 신규설치수, 삭제수, MAU, 평균 실행횟수, 평균실행시간, 평균총실행시간, 평점 등 8가지다.)

😈 인스타그램은 작년에 9위였는데 올해는 3위라고. 와우. 6위 스노어랩이 뭔가 했는데, 코콜이 측정 어플이란다. 실행시간이 길어서 높은 점수를 받은 듯. 네이버 밴드가 11위인 것도 놀랍다. 

'TIL > 트렌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2.26.  (0) 2023.01.05
2022.12.20.  (0) 2022.12.20
2022.12.10.  (0) 2022.12.13
2022.12.07. (모노레포 포함)  (0) 2022.12.07
2022.12.04.  (0) 2022.12.07
Comments